IT Development/Linux

리눅스 타임서버 동기화 방법

심블링 2015. 10. 29. 09:43
반응형

서버 시간동기화

공용 NTP 서버 목록

ntp.kornet.net KT
time.bora.net LG유플러스
time.kriss.re.kr 한국표준과학연구원(KRISS)
time.nuri.net 아이네트호스팅
time.nist.gov NIST
time.windows.com 마이크로소프트

crontab 설정방법

# rdate - 원격타임서버로 부터 날짜시간정보 가져오기 I

 

rdate는 지정한 원격지의 타임서버로 부터 날짜시간정보를 받아와 보여주거나 날짜시간설정을 하는 명령어이다.

레드햇계열 및 여타 배포판에서도 별도의 설치과정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다.

 

사용형식


 rdate [-p][-s][-u][-l]  [타임서버]


 

* 원격타임서버의 시간정보 확인하기

-p옵션을 사용하면 지정한 원격지의 타임서버(아래의 예에서는 time.bora.net)에서 시간정보를 가져와서 보여준다.


[root@host1 root]# rdate -p time.bora.net
rdate: [time.bora.net]  Tue Sep  9 11:44:25 2003


즉, 위의 예는 원격 타임서버인 time.bora.net서버에서 현재 날짜시간정보를 가져와서 확인한 예이다.

 

* 원격타임서버의 시간정보 가져와서 현재로컬서버의 시간 맞추기

현재 시스템의 날짜시간정보가 틀리다는 것을 확인하고 원격지의 타임서버에서 날짜시간정보를 가져와서 현재 시스템에 적용을 한 것이다.  날짜시간설정을 하려면 -s옵션을 사용해야한다.


 [root@host1 root]# date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현재시스템의 날짜시간정보 확인)
2003. 09. 07. (일) 01:30:01 KST
[root@host1 root]#
[root@host1 root]# rdate -s time.bora.net   (타임서버에서 날짜시간정보를 가져와 적용함)
[root@host1 root]#
[root@host1 root]# date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현재시스템의 변경적용된 날짜시간정보 확인)
2003. 09. 09. (화) 11:45:40 KST
[root@host1 root]#


 

참고로 사용할 수 있는 타임서버(Time Server)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.
time.bora.net (보라넷)
time.kriss.re.kr (한국표준과학연구원)

 

* 재부팅시 자동 날짜시간정보 사용하기

서버관리자는 매번 이런 시간을 직접 맞추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것이다. 이런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/etc/rc.d/rc.local 파일에 명령어를 넣어 두거나 주기적인 시간설정을 위해 cron에 넣어두기도 한다.

 

# clock - CMOS의 시간 설정

 


clock은 CMOS의 시각을 설정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. CMOS의 시각을 가져와 시스템운영체제 시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, 반대로 시스템 운영체제 시각을 CMOS의 시각으로 설정할 수 있다. date명령어는 단순히 시스템 즉, 시스템 운영체제의 시각을 설정하는 것이며 서버의 CMOS시각을 설정할 수는 없다. 시스템이 부팅될 때에는 CMOS의 시각이 시스템 운영체제시각에 넘겨져서 부팅 시 초기시간으로 설정된다. 따라서 부팅시마다 지속적으로 정확한 시각설정이 필요하다면 clock명령어로 CMOS의 시각을 정확하게 설정해 두어야 한다.

 

clock애서 사용되는 옵션은 아래와 같다.

 

-u : CMOS의 시각을 국제시각으로 조정한다.
-r : CMOS의 시각을 출력한다.
-w : 리눅스시스템 시각으로 CMOS시각을 조정한다.
-s : CMOS의 시각으로 리눅스시스템시각을 조정한다.
-a : CMOS의 시각으로 리눅스시스템시각으로 조정하고 다시 CMOS에 조정한다.

 


 

 

 

 


/usr/bin/rdate -s time.bora.net && /sbin/clock -w

반응형